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확대된 대체공휴일과 적용대상, 경제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1. 대체공휴일이란? |
2. 대체공휴일 확대 |
3. 대체공휴일 적용대상 |
4. 대체공휴일 효과 |
1. 대체 공휴일이란?
대체 공휴일은 어떤 공휴일이 다른 공휴일이랑 겹치게 되면 그날 다음 비공휴일을 공휴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공휴일이 일요일이나 다른 공휴일과 겹치게 되면 그다음 평일을 공휴일로 하는 것입니다. 설날과 추석 연휴의 경우 일요일, 어린이날과 이번에 추가되는 국경일은 토요일과 일요일이 겹치는 경우 대체 공휴일이 적용됩니다.
2. 대체 공휴일 확대
기존 설날과 추석, 어린이날에만 적용되던 대체 공휴일에 국경일이 추가되었습니다. 국경일로는 3·1절(3월 1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이 있습니다. 당초 석가탄신일과 성탄절 등이 있었으나 관계부처와의 협의 및 관련 단체 의견 수렴으로 인해 국경일이 아닌 공휴일은 제외가 되었습니다.
3. 대체 공휴일 적용대상
2018년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기존 관공서에만 적용되던 공휴일이 2020년 1월부터 300명 이상 기업에서도 의무화되기 시작했습니다. 2021년 1월부터 30인 이상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되었고 22년 1월부터는 5~29인 기업도 대체 공휴일을 적용받습니다.
4. 대체 공휴일 효과
대체 공휴일을 확대 추진 함으로써 상당한 경제 효과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대체 공휴일의 경제적 파급 영향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광복절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에 따른 소비지출액이 2조 1000억 원으로 추산 된다고 합니다. 또한 이 소비에 따라 경제 전체에 미칠 생산유발액은 4조 2000억 원 정도 될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까지 대체 공휴일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