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P 실기 시험 대비 R markdown 기능에 관해서 소개 하겠습니다.
ADP 실기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분석 역량뿐만 아니라 빠르게 문서 작성 기술도 필요합니다.
정말 정말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입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R Markdown 기능을 사용하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R Markdown은 코드와 분석 내용을 포함하여 HTML, PDF, WORD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이름이 R Markdown인 것처럼 Markdown 언어에 R 코드를 넣을 수 있습니다.

File - New File - R Markdown

Title과 Default Output Format 선택 후 OK 누르시면 됩니다.

기본 적으로 YAML Header, Code Chunk, Markdown, R코드 등 영역으로 나눠 질 수 있습니다.
1. YAML Header : R markdown의 문서 형식을 설정하는 용도 입니다.

YAML Header 내용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2. Code Chunk : 최초 설정 입니다.
knitr::opts_chunk$get()#현재 옵션 확인
knitr::opts_chunk$set(echo = T, eval = T, include = T, message = F, warning = F, error = F, root.dir = '/위치')
echo : 문서에 코드를 보여준다
eval : 코드를 실행한다.
include : 실행 결과를 보여준다
message : 실행 때 나오는 메시지를 보여준다.
warning : 실행 때 나오는 경고를 보여준다.
error : 에러가 있어도 실행하고 에러코드를 보여준다.
root.dir : setwd()와 같은 기능 입니다.
3. Markdown 형식으로 작성 하는 영역 입니다.
4. R 코드를 작성 하기
```{r}
head(iris)
```
위 아래로 '''{r] '''가 있다면 R 코드가 실행이 가능해 집니다.
이걸 chunk라고 하는데 chunk 생성 단축키는 Ctrl+Alt+I 입니다.
5. 결과 출력 하기
Knit를 클릭 후 HTML, PDF, Word를 선택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축키는 Ctrl+Shift+Enter (처음 셋팅된 형식으로 출력됨)


HTML로 출력 결과
기본적인 R Markdown 사용법은 여기 까지 입니다.
사용해보시고 리플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