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 바이오 대표 기업 중 하나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기업 분석과 주가 전망을 해보려고 합니다. 투자하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목차 |
1. 삼성바이오로직스 소개 |
2. 삼성바이오로직스 투자 포인트 |
3. 추가 주가 상승 요인 |
1. 삼성바이오로직스 소개
2011년 4월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생산(CMO)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 입니다.
주요주주로는 삼성물산(43.4%), 삼성전자(31.5%) 등으로 삼성그룹이 75%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연금 공단이 5.1%, 외국인이 10%를 가지고 있기에 개인 유통 물량은 10% 밖에 안되는 상황입니다.
2. 삼성바이오로직스 투자 포인트
첫 번째, CMO 회사 투자에 가장 중요한 점은 공장 가동률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얼마나 수주가 되었고 공장 가동이 어느 정도 되고 있는지는 항상 확인해야 하는 포인트입니다.
두 번째, 삼성바이오로직스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시밀러를 항상 체크해야 합니다.
- 삼성바이오에피스 파이프라인
파이프라인 | 설명 |
SB2 | Remicade의 바이오시밀러로 셀트리온 램시마가 꽉잡고 있는 시장에 어떻게 포지셔닝 해가는지 확인 필요 |
SB3 | Herceptin의 바이오시밀러로 유럽 상품명은 온트루잔트, 현재 미국에서 판매를 준비중 |
SB4 | Enbrel의 바이오시밀러로 판매 허가를 받았음에도 특허권 이슈로 아직 판매되지 않고 있음 |
SB5 | Humira의 바이오시밀러로 현재 바이오시밀러중 1위 |
SB8 | Avastin의 바이오시밀러 현재 유럽과 미국에 판매 허가 신청함 |
SB11 | Lucentis의 바이오시밀러로 3상 완료 |
SB12 | Soliris의 바이오시밀러로 3상 착수 |
SB15 | Eylea의 바이오시밀러로 3상 착수 |
SB16 | Denosumab의 바이오시밀러로 3상 착수 |
SB17 | Stelara의 바이오시밀러로 3상 착수 |
SB26 | 삼성 최초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으로 임상 1상 진행 중 |
3. 추가 상승 요인
첫 번째, 코로나 19로 인해 글로벌 제약사들이 CMO에 수주를 맡겨야 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1년 5월 22일에는 미국 모다 나의 mRNA 코로나 19 백신의 완제품(DP) 생산 수주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 백신 수주 수혜 등으로 인해 호실적이 예상됩니다.
두 번째, 삼성 바이오에피스는 2021년 6월 26일 안과 질환 치료제 루센티스의 CHMP유럽허가 권고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신약 가치가 반영될 것입니다.
세 번째, 23년 초 4공장 가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고려할 때 올 연말부터 4공 장 실적 부분에 대해 주가에 반영될 것입니다.
투자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궁금한 내용 질문 부탁 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