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이야기/기업분석 및 테마주

에코프로비엠 주가 전망

by 행복찾아3만리 2023. 4.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4월12일 하이투자증권에서 나온 에코프로비엠 리포트 요약 공유해드립니다. 주식 투자하시는데 참고바랍니다.

에코프로비엠 목표주가

16만원->26만5천원(상향)

에코프로비엠 리포트

- 동사 1Q23 잠정실적은 매출액 2.01 조원(YoY: +204%, QoQ: +3%), 영업이익 1,070 억원(YoY: +161%, QoQ: +13%)으로 시장기대치(매출액 1.96 조원, 영업이익 1,137 억원) 대비 매출은 견조했으나 영업이익은 소폭 하회했다. 전세계 경기 둔화 영향으로 전동공구, e모빌리티 등 Non-IT 기기 수요는 부진하나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유럽, 북미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향 양극재 수요가 견조해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5% 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① 원-달러 환율이 전분기 대비 약 6% 하락했고, ② 지난해 하반기부터 CAM5N(30K), CAM7(54K) 신규 라인이 순차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해 고정비 부담이 높아지면서 영업이익률 5.3%를 기록했다. 올해 1 분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리튬, 코발트의 원재료 가격 하락세는 2Q23 양극재 판가에 점진적으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다만 계절적 성수기인 하반기로 가면서 CAM5N, CAM7 라인 가동이 본격화될 경우 고정비 부담이 점차 완화되면서 수익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반영한 2023 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1 조원(YoY: +70%), 5,550 억원(YoY: +46%)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 최근 동사 주가는 단기에 급등세를 나타내며 연초 대비 약 220% 상승했다. 지난 4Q22 를 기점으로 2023 년, 2024 년 실적 컨센서스는 꾸준히 하향 조정되어왔기 때문에 지금의 주가 상승은 기업가치의 상승이 아닌 밸류에이션 상승에 따른 것이다. 동사는 전세계 양극재 산업 내 가장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대 캐파를 확보한 1 등 업체로서 좋은 기업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지금의 주가 흐름은 이른바 유튜브발 FOMO 주식이 되어버린 탓에 기업 본연의 가치와 밸류에이션을 무시한 주가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이다. 동사가 밝힌 공식적인 미래성장전략은 2027 년말 양극재 생산 캐파 71 만 t, 2027 년 양극재 판매량 60 만 t 을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2027 년 양극재 판가를 지금보다 약 20% 하락한 $45 로 가정시 동사의 공식적인 판매량 계획 60 만 t 에서 발생하는 매출은 약 34 조원, 영업이익률 7% 가정시 영업이익은 약 2.4 조원으로 전망된다. 배터리 셀, 완성차 제조사들과의 합작사를 고려한 지배주주순이익은 약 1.4 조원으로 추정된다. 현재 동사의 시가총액 28.8 조원은 2027 년 공식적인 중장기 사업계획 기준 P/E 19.9 배 수준으로 볼 수 있으며, 양극재 판가를 $40 로 가정시에는 P/E 22.4 배까지 밸류에이션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근거로 당사는 현 시점에서 동사 주가의 상승 여력이 제한적이라고 판단한다.
-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를 2027 년 공식적인 미래 성장 계획을 반영하여 265,000 원으로 상향하나 투자의견은 Hold 로 하향한다. 목표주가는 2027 년 예상 EPS 13,141 원에 2030 년 전세계 전기차 침투율이 50%까지 상승하는 과정에서 실적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것을 고려하여 PEG 1.0 수준인 P/E 20 배를 적용해 산출했다. 현 주가의 밸류에이션은 2025 년 예상 실적 기준 P/E 41.2 배로 2027~2030 년 실적이 선반영된 수준까지 상승했으며, 전세계 이차전지 셀, 소재 업종 내 가장 높은 멀티플을 적용 받고 있다. 지금은 분명 오버슈팅 구간이다. 따라서 주가 조정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당분간 상승 여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 주식 시장이 합리적이라면 지금의 주가 상승세는 얼마 남지 않았을 것이다. 단기에 주가가 급등한 만큼 현 시점에서는 주가 조정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