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영유아 알레르기

by 행복찾아3만리 2022. 10.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저희 아이에게 이유식을 만들어 주면서 고민하고 찾아보았던 알레르기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알레르기란?
2. 알레르기 고위험군
3. 알르레기 위험 음식
4. 알레르기 증상
5.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 방법

 

1. 알레르기란?

알레르기란 음식이나 어떤 물질을 먹거나 접촉하였을 때 몸에서 과민 반응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아토피, 천식, 비염, 음식 알레르기가 있습니다. 이중 음식 알레르기에 경우 2세 이전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2. 알레르기 고위험군

아이의 부모나 형제가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아이의 알레르기 발생 확률이 높습니다. 가족의 알레르기가 심하면 심할수록 아이에게도 그만큼 알레르기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아이가 특정 음식에서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했다면 다른 음식에서도 알레르기가 발생할 확률이 커집니다.

 

3. 알레르기 위험 음식?

과거에는 3세 이전에 계란, 견과류, 해산물 등 알레르기가 쉽게 발생하는 음식을 먹지 않을 것을 권고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해당 내용은 근거가 부족하다는 논문이 나오고 있으며 해당 음식들을 3세 이후에 먹는 것이 알레르기 질환을 더욱 높인다는 논문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현재 알레르기에 위험한 음식이라고 너무 늦게 시작하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알레르기에 위험한 음식이라고 계속 미루는 것보다 적당한 시기에 섭취하여 실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유식을 진행할 때에는 3~5일 간격으로 새로운 식재료를 추가하여 아이의 알레르기 반응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4. 알레르기 증상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증상은 두드러기와 발진을 생각하지만 그 외에도 구토, 설사, 복통, 호흡곤란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는 음식을 섭취 후 바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며칠 간격으로 점차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음식 섭취 후 바로 알레르기 반응이 없다고 하여도 안심할 수 없으며 5일 정도 지켜본 후 알레르기 증상이 없다면 그때 안심하셔도 됩니다.

 

5.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방법

알레르기 증상이 발생하면 즉각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병원이 문 닫을 시간이면 응급실로 바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알레르기는 두드러기나 발진에서 끝나지만 심한 경우 호흡곤란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레르기 증상 발생 시 즉각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알레르기 증상의 경우 병원에서 적절한 진료만 받게 되면 바로 회복이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알레르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꼭 숙지해놓으셨다가 알레르기 발생 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