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2023년에 개정된 연금저축 소득공제 조건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금이란?
노후를 대비하여 저축 및 여러 상품에 투자하여 55세 이후 일정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받는 것을 말합니다.
2. 연금을 왜 가입해야 할까?
보통 국민연금이 65세 이후로 지급되며 55세부터 65세까지 10년 동안의 생활자금을 만드는 게 목적입니다.
3. 연금의 종류는?
연금의 종류로는 크게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이 있습니다.
- 개인연금
연금저축계좌
- 퇴직연금
DC, IRP, 다이렉트IRP
4. 연금 비교
출처 : 삼성증권
5. 연금저축 추천 ETF
연금저축의 경우 일반 주식 계좌와 달리 거래시 세금을 내지 않기에 해외 etf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해외 etf 중 어떤 것을 매수하는 것이 좋을까요?
과거 워렌버핏이 유명 펀드매니저들과 주식 내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워렌버핏은 s&p500 지수에만 투자해도 펀드매니저들을 이길 수 있다고 하였고 내기의 결과 워렌버핏이 투자한 s&p500 추종 etf가 승리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연금 같은 장기간 투자에서는 지속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미국 같은 나라의 etf를 매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연금계좌에서 미국 s&p500을 매수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가능합니다. 한국에도 여러 증권사에서 s&p500 추종 etf를 출시하였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tiger 미국 s&p500을 모아가고 있으니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수수료, 배당 정책들을 비교해 보고 미국 s&p500 추종 etf를 매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6. IRP 투자 전략
IRP 계좌의 경우 주식 같은 위험자산 70%와 채권, 예금 같은 안전자산 30%를 투자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위험자산의 경우 연금저축 계좌처럼 s&p500을 모아가는 것이 좋으며 나머지 30%의 안전 자산의 경우 최근 금리 오른 것을 이용하여 예금에 투자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기까지 연금저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유가 되신다면 연금저축은 소득공제뿐만이니라 세금이연 등 많은 이득이 있는 상품입니다. 아직 연금저축을 안 하시는 분들은 꼭 한번 고려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SA란?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재테크에 꼭 필요한 ISA 계좌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SA란? ISA란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말합니다. ISA 계좌에서
bestinvestment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