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유진투자증권에서 3월 30일 발행된 에코프로비엠 증권사 리포트 요약본을 공유해 드립니다. 주식 투자하시는데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에코프로비엠 목표주가
15만원->20만원
에코프로비엠 리포트
-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투자의견을 BUY에서 HOLD로 하향한다. 하향 이유는 펀더멘탈 이슈가 아니다. 미래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나, 주가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미래 이익을 반영해서 당분간 이를 검증할 기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목표주가는 미국 시장 확대와 고객사의 추가 성장을 반영해서 기존 15 만원에서 20 만원으로 상향했다. 목표주가 기준 PER 은 23 년 실적기준 51.6 배에서 25년 25.8 배 27 년 14.4 배로 낮아진다. 유럽과 미국의 합산 전기차 시장 성장률은 2022~2026년 26%에서 2027~2030년 20%로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주들의 밸류에이션도 이 추세를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중국 양극재 업체 들은 낮아진 성장속도로 인해 밸류에이션 하락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 에코프로비엠은 2022 년 12.5만 톤에서 2027 년 71만 톤으로 증설한다. 고객사들의 추가 수 주를 감안하면 2030 년까지 100만 톤까지 증설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삼원계 양극재 경쟁 사들은 1) 국내업체들 2) 유럽, 일본, 미국, 중국 등 해외업체들로 분류할 수 있다. 동사 포함 포스코케미칼, LG 화학,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등 국내업체들의 국내외 양극재 생산 능력 은 2022년 46만 톤에서 2025년 122만 톤, 2027년 190만 톤 2030년 260만 톤으로 추정된 다. 유미코어, 바스프, 스미토모 메탈 마이닝, 니치아, 레드우드, 닝보 론베이 등 해외업체들 의 생산능력(중국 공장 제외)은 2022년 19만 톤, 2025년 69만 톤, 2027년 87만 톤, 2030년 151만 톤으로 추정된다. 에코프로비엠의 생산 캐파 기준 점유율은 2022 년 19%에서 2025 년 21%, 2027년 26%, 2030년 24%로 추정된다. 동사의 미국과 유럽의 삼원계 양극재 시 장에서의 위상은 유지되지만, 글로벌 캐파 기준 70~80%에 해당하는 경쟁자들과의 소리 없는 전쟁은 지속될 것이다. 물론 이는 미국과 유럽시장 전기차 시장이 삼원계로 채워진다는 가정하에서의 분석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