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4월 10일 하이투자증권에서 나온 LG에너지솔루션 리포트 요약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주식 투자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 목표가
63만 원->77만 원(상향)
LG에너지솔루션 리포트
- 동사 1 Q23 실적은 매출액 8.7조 원(YoY: +101%, QoQ: +2%), 영업이익 6,330억 원(YoY: +145%, QoQ: +167%)을 기록하며 시장기대치(매출액 8.4조 원, 영업이익 4,847억 원)를 크게 상회했다. 이번 실적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미국 IRA(2023~2032년)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제도(45X)가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예상되는 관련 세액공제 금액을 영업이익에 반영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AMPC는 2023년부터 미국 내에서 생산, 판매하는 배터리 셀/모듈에 일정액의 Tax Credit(셀 $35/kWh, 모듈 $10/kWh)을 수취할 수 있도록 하는 법 조항이다. 회계상 미래에 창출할 수익이더라도 확정적일 경우 발생이 예상되는 시점에 선반영 할 수 있다. 배터리 셀 업체들은 예산 상한선이 없는 AMPC 혜택 가능성을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동사의 1 Q23 영업이익에는 세액공제 예상금액 약 1,003억 원이 반영되었으며, 배터리 생산량 기준으로는 약 2.2 GWh 규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AMPC 효과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5,329억 원으로 원달러 환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북미, 유럽 고객사들의 전기차 판매 호조세에 따른 출하량 증가와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호조세를 나타냈다.
- 동사의 공식적인 2025년 말 기준 예상 배터리 셀 생산 캐파는 약 540 GWh 규모이다. 이 중 2025년 미국에서 가동되는 연간 실질 캐파는 약 178 GWh로 예상된다(캐나다 제외). 이를 반영할 때 동사에게 지급될 연간 AMPC 규모는 2023년 약 1.0조 원, 2024년 약 2.6조 원, 2025년 약 4.9조 원으로 추정되며, 2025년 기준 AMPC 반영 전후 영업이익과 지배주주순이익은 기존 대비 각각 89%, 90%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2030년 북미 전기차 전환율 60%와 북미 시장 내 동사의 점유율 30%로 가정한 당사의 전망치에 따르면 2032년 미국 내 동사의 실질 캐파는 약 600 GWh 규모로 예상되며, IRA가 시행되는 2032년까지의 누적 총액은 약 9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미국 환경보호청(EPA) 2032년 신차 내 전기차 전환율 67% 목표 발표 예정). 국내 배터리 셀 업체들 중 가장 큰 규모이다(삼성 SDI 약 40조 원, SK온 약 45조 원 추정).
-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를 77만 원으로 상향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2025년 예상 EBITDA 1.58조 원에 전 세계 주요 배터리 셀 업종 EV/EBITDA(9.5 배)에 30% 할증한 12.4배를 적용하여 산출했다. 배터리 산업 내 가장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사를 확보하며 미국 IRA AMPC 정책의 최대 수혜가 예상되는 동사 주가에 상대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을 적용하는 것에 무리가 없다는 판단이다. 현 주가는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P/E 23.6배로 AMPC 효과 실적 반영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상당히 해소되었다. 올 들어 배터리 셀 업체들의 주가의 상승폭은 소재 업종 대비 다소 낮았지만 AMPC 정책 시행 여부 불확실성 해소가 배터리 셀 업체들의 가파른 주가 상승세를 이끌 것으로 전망되는 바 동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