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4월 14일 하나증권에서 나온 클리오 리포트 요약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주식 투자하시는데 참고 바랍니다.
클리오 목표가
2만 2천 원->3만 원(상향)
클리오 리포트
- 클리오의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750억 원(YoY+14%, QoQ +4%), 영업이익 47억 원(YoY+28%) 전망한다. 또다시 역대 최대 매출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 한 요인은 다음 2가지로 판단한다. 1) 국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에 따른 순수 내수 수요 상승과 2) 관광객 증가 (1~2월 누적 방한 외국인 91만 명, YoY+402%)에 따른 관광 상권 수요 상승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당사 예상을 상회한 채널은 국내 온라인과 H&B이다.
- 1분기 국내와 해외 매출 성장률은 각각 +25%, 3%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는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에 따라 색조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동사는 국내 핵심 온/오프라인 채널에 대한 높은 점유율, 브랜드 경쟁력으로 수혜가 집중된 것으로 해석한다. 1) 국내는 채널별로 보면 핵심 채널인 H&B, 온라인이 각각 28%, 42%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홈쇼핑 또한 221% 성장하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수요 상승이 눈에 띈다. 면세의 경우 시장은 30% 수준 감소하나(따이공 급감), 관광객 수요 증가로 8% 감소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2) 해외는 비중 높은 일본과 중국이 각각 25%, 37% 감소하나, 미국과 동남아가 각각 58%, 111% 증가하며 해외 매출을 3% 감소 수준 지킬 것으로 판단한다. 영업이익이 컨센서스(52억 원) 대비 소폭 못 미치는데, 성수 기를 앞두고 국내 온/오프라인 마케팅, 글로벌(동남아/미국) 안착을 위한 투자 등이 비롯된 영향이다. 이는 2분기 이후 매출 견인을 이끌 투자로 해석한다.
- 중국 리오프닝 기조, 방한 관광객 회복 추세 강해지며 2분기부터 내수 화장품, 특히 색조 수요 강세를 기대한다. 이는 2023년의 단발성 이슈가 아니다. 외국인 트래픽은 면세와 H&B채널로 집중될 것이며, 특히 클리오는 H&B 채널에서의 독보적인 성과가 기대된다. 한편 중국 소비 정상화, 일본 신규 제품 런칭/채널 확장, 미국 온라인 /오프라인 추가 진출 등으로 해외 주력 지역의 매출 성장도 두드러질 것이다. 클리오는 2023년에도 국내/해외 호조세 이어지며 역대 최대 매출 경신할 것이다. 중소형주 Top pick 유지하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만 원으로 상향한다. (12M fwd P/E 29x 적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