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4월 5일 하이투자증권에서 나온 오리온 리포트 요약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투자하시는데 참고부탁드립니다.
오리온 목표주가
17만 원->18만 원(상향)
오리온 리포트
- 오리온의 1 Q23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706 억 원 (+2.7% YoY), 1,088 억 원 (+0.2% YoY)으로 추정한다. 명절 시점차 관련 1 월 공백이 체력 개선으로 충분히 메워짐에 따라 높아진 시장기대치를 부합하는 영업실적 시현이 예상된다.
- 한국은 +13.9% YoY의 매출액 고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메인제품 수요 확대 및 신제품 효과에 가격인상이 더해진 높은 성장세가 경쟁업체대비 두드러지는 상황으로, 원부자재 및 유틸리티 단가 상승, 운임비 증가 등 비용부담 지속에도 불구, 이익에 대한 부담이 없다. 23 년 내 원가부담 하락 시 추가 레버리지 개선 또한 가능하다.
- 중국 매출액 성장률은 13.3% YoY로 추정한다. 다만 1 월 성장률이 -22.7% YoY였음을 감안, 단순 시점차이에 따른 1 월 역기저에도 기존의 고질적 디스카운트 요인이었던 명절 이후 시장재고 이슈는 없으며, 실제 춘절 이후 소비회복과 맞물린 중국 현지 영업전략의 높은 실효성이 견조한 출고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점차 관련 23 년, 24 년 춘절 물량의 동시 제거에도 23 년 연간 영업실적의 성장 기대가 가능하며, 소비 개선세에 제품 경쟁력까지 감안, 실적 공백 우려는 마무리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 베트남은 1 월분의 12 월 선출고 및 2 월 명절 후 단기 현지 소비둔화 영향에도 기존의 고성장세로 회귀하고 있음을 감안, 1 Q23 +5.3% YoY의 회복 흐름을 보일 것으로 판단한다. 원가부담에도 물량성장과 레버리지 효과 또한 유효하며, 2 H23 이후 더해질 카테고리 및 제품 확장으로 전사 영업실적에의 추가 기여까지 기대 가능하다.
- 러시아는 +35.0% YoY의 현지 외형성장률이 기대되며, 이는 메인 카테고리인 파이 성장과 비스킷 라인업 확대에서 기인할 전망이다. 최근 카테고리 확장 중인 제2 공장 기반의 중장기 영업실적 증가 또한 유효하다.
- 명절 선반영 관련 월별 흐름 변동에도 중국 소비 개선세 및 한국, 베트남, 러시아의 지배력 확대에 따른 영업실적 성장세를 감안, 오리온의 주가 흐름은 향후 시현할 추가 성장 관련 관심을 지속 반영할 전망이다. 원가부담, 소비경기 침체 등 음식료 업종의 대외변수 악조건 확대에도 오리온의 지역별 영업실적 개선세는 여타 업체대비 눈에 띈다. 전 지역에서의 순항을 감안 시 현재 오리온의 주가레벨 및 밸류에이션은 충분한 매수기회를 의미, 글로벌 동종업체대비 높은 할인 폭에 대한 축소 또한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영업실적 추정치 변경에 따라 목표주가를 180,000 원으로 상향조정한다.
댓글